“우리 아이가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을 얼마나 이해했을까?”
초등 1‧2학년 학부모님들이 자주 하는 질문입니다. 학교에서는 아이의 학습 결과를 ‘성취수준(A·B·C)’으로 표현하는데요, 이 수준이 바로 자녀의 학습 이해도와 성장 방향을 알려주는 중요한 기준입니다.
이전 글 ‘교과별 대표 문항으로 우리 아이 학습 성취 점검하기’에서는 ‘성취기준’이 무엇인지 다뤘다면,
이번 글에서는 각 교과별 성취수준과 세부 기준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.
![우리 아이 학교에서 배운것 이해했나? [pdf제공]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a/oexNm/dJMcagX7Yo8/AAAAAAAAAAAAAAAAAAAAAO8JC64pesg0zAXQWbRM8MT6FyVnst8mAWLjmPU7x242/img.jpg?credential=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&expires=1764514799&allow_ip=&allow_referer=&signature=IgljAmp2YWNnINTYLdQxxQ1JOJI%3D)
1. 교과별 성취수준이란? — 개념과 구조
‘성취수준(Achievement Level)’은 학생이 교육과정의 목표를 어느 정도 달성했는지를 보여주는 학습 성취 단계입니다.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, 초등 1‧2학년의 성취수준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:
- A 수준: 목표를 충분히 달성, 개념 이해 및 적용 능력이 우수
- B 수준: 기본 개념 이해, 과제 수행 가능
- C 수준: 기초 개념 일부 이해, 교사의 도움 필요
성취수준은 두 가지 관점에서 제시됩니다.
- 영역별 성취수준: 교과의 큰 틀(예: 국어의 듣기·말하기·읽기·쓰기 등)
- 성취기준별 성취수준: 각 영역 안의 세부 학습 목표에 따른 단계
이 글에서 소개하는 내용은 모두 NCIC(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)에서 제공한 공식 문서를 근거로 구성되었습니다.
2. 교과별 성취수준 다운로드
아래에서 초등 1‧2학년군의 교과별 성취수준을 교과별로 확인하고, PDF 파일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.
💡 모든 자료는 NCIC 공식 문서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, 2025년 11월 기준 최신 교육과정 내용을 반영했습니다.
3. 성취수준을 아이 학습에 어떻게 활용할까?
성취수준은 단순히 성적을 의미하지 않습니다.
‘우리 아이가 지금 어디쯤 와 있는지’, 그리고 ‘어떤 방향으로 도와주면 좋을지’를 알려주는 나침반입니다.
부모님이 성취수준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 3가지:
- 학교 생활기록부 이해 — 통지표에 표기된 성취수준(A·B·C)의 의미 파악
- 자녀의 학습 패턴 파악 — 각 영역별로 강점과 보완점을 구분
- 가정 학습 계획 세우기 — 교과별 수준을 참고해 복습·확장 활동 설계
이 성취수준표를 바탕으로, ‘초등 1·2학년 교과별 성취수준 체크리스트(PDF)’ 글을 함께 참고하면 실제 활용법이 더욱 명확해집니다.
성취수준은 단순한 ‘평가 결과표’가 아니라, 아이의 성장 여정을 이해하고 격려할 수 있는 지도입니다.공식 기준을 기반으로 자녀의 학습을 바라보면, 불안 대신 신뢰와 방향을 가질 수 있습니다.
- 🔗 교육과정 더 알아보기 — NCIC 공식 페이지로 이동
⏰ 최종 업데이트: 2025년 11월 기준